Skip to content

Latest commit

 

History

History
122 lines (97 loc) · 7.85 KB

about_test.md

File metadata and controls

122 lines (97 loc) · 7.85 KB

과제 설명

  • thecatapi에서 크롤링 된 데이터를 이용해 움짤을 검색하는 간단한 코드
  • ES6 class 기반으로 베이스 코드가 작성되어 있음
  • 해당 코드에는 잠재적인 오류들이 있음
  • 해당 코드 기반으로 요구사항을 나열
  • 해결한 잠재적 오류와 해결한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채점

실행법

  • backend 폴더 위치에서 "npm install" 명령어로 node_modules 설치
  • data.json이 없는 경우 backend 폴더로 이동한 뒤 npm run crawling으로 데이터를 먼저 생성해야함
  • 이후 node app.js 실행
  • 이후 frontend/index.html 을 브라우저로 열면 실행 됨
    • 혹은 frontend 폴더에서 npm start 입력
    • 특정 키워드만 검색 가능, ex) 아메리칸 숏헤어

검토해야 하는 것

  • 코드에 오류를 얼마나 심을 것인지
  • 비교적 자바스크립트의 최신 기능들에 대해서 넣을지 말지
    • async, await와 module 같은 경우
    • 어차피 보너스 문제니까 상관 없을 것 같기도 함
  • API에서 약 5%의 확률로 에러를 내도록 만드는 게 좋을 듯 함
    • 그냥 rand 굴려서 5%에 해당하면 에러 발생시키기
    • 에러 관련 처리를 했는지에 대해 보기 위함
  • 테스트 코드 작성을 요구사항에 넣을지가 고민
  • 기본 스타일링을 어디까지 제공할 것인가
  • 프로그래머스 측에 backend app을 띄운 후, 어느정도의 트래픽을 감내할 수 있는지 테스트를 해봐야 할 것 같다.
    • 아틸러리 같은 것을 써보면 될 것 같고, 이 부분은 제프리가 해본 경험이 있어서 잘 알 것 같음
  • CSS 문제를 넣을 것인가?
    • 지금은 무조건 2열로 나오고 있는데, 가령 모바일 사이즈인 경우 1열로 나오게 하기

과제 내용

주제(시나리오)

고양이를 좋아하는 당신은 고양이 사진 전용 검색 웹사이트를 운영하고 있었습니다. 지금까지는 혼자 소소하게 운영해왔는데, 생각보다 고양이 사진을 원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하나씩 드러나기 시작했어요. 몇 개의 문제는 금세 고칠 수 있지만, 기존 코드를 자세히 봐야만 고칠 수 있는 문제들도 있어서 조금 골치아픈 상황! 심지어 최대 4시간 내에 수정한 뒤 배포를 해야만 합니다. 당신이라면 기존 서비스의 여러 버그를 제한시간 내에 고치고, 유저를 위한 추가 기능까지 구현해볼 수 있을까요? 도전해보세요!

과제 설명

  • thecatapi 에서 크롤링한 데이터를 이용해 이미지를 검색하는 베이스 코드가 주어집니다.
  • 베이스 코드는 모두 ES6 클래스 기반으로 작성되어 있으며, 이 코드에는 여러 개의 버그가 존재합니다. 요구사항을 잘 읽고, 버그를 하나씩 해결해주세요.

수행 기술

  • JavaScript(ES6)
  • 설치되어있는 모듈(node_modules) 외에 다른 외부 라이브러리는 사용하지 않도록 합니다. 예를들어 jQuery, Webpack, Lodash, Axios, Angular, React, Vue, Immutable-js, Ramda 등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요구사항

참고 요구사항의 순서는 난이도와 상관이 없음

HTML, CSS 관련

  • 현재 HTML 코드가 전체적으로 <div> 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마크업을 시맨틱한 방법으로 변경해야 합니다.
  • 유저가 사용하는 디바이스의 가로 길이에 따라 검색결과의 row 당 column 갯수를 적절히 변경해주어야 합니다.
    • 992px 이하: 3개
    • 768px 이하: 2개
    • 576px 이하: 1개
  • 다크 모드(Dark mode)를 지원하도록 CSS를 수정해야 합니다.
    • CSS 파일 내의 다크 모드 관련 주석을 제거한 뒤 구현합니다.
    • 모든 글자 색상은 #FFFFFF , 배경 색상은 #000000 로 한정합니다.
    • 기본적으로는 OS의 다크모드의 활성화 여부를 기반으로 동작하게 하되, 유저가 테마를 토글링 할 수 있도록 좌측 상단에 해당 기능을 토글하는 체크박스를 만듭니다.

이미지 상세 보기 모달 관련

  • 디바이스 가로 길이가 768px 이하인 경우, 모달의 가로 길이를 디바이스 가로 길이만큼 늘려야 합니다.
  • 필수 이미지를 검색한 후 결과로 주어진 이미지를 클릭하면 모달이 뜨는데, 모달 영역 밖을 누르거나 / 키보드의 ESC 키를 누르거나 / 모달 우측의 닫기(x) 버튼을 누르면 닫히도록 수정해야 합니다.
  • 모달에서 고양이의 성격, 태생 정보를 렌더링합니다. 해당 정보는 /cats/:id 를 통해 불러와야 합니다.

검색 페이지 관련

  • 페이지 진입 시 포커스가 input 에 가도록 처리하고, 키워드를 입력한 상태에서 input 을 클릭할 시에는 기존에 입력되어 있던 키워드가 삭제되도록 만들어야 합니다.
  • 필수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일 때, 현재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임을 유저에게 알리는 UI를 추가해야 합니다.
  • 필수 검색 결과가 없는 경우, 유저가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UI적인 적절한 처리가 필요합니다.
  • 최근 검색한 키워드를 SearchInput 아래에 표시되도록 만들고, 해당 영역에 표시된 특정 키워드를 누르면 그 키워드로 검색이 일어나도록 만듭니다. 단, 가장 최근에 검색한 5개의 키워드만 노출되도록 합니다.
  • 페이지를 새로고침해도 마지막 검색 결과 화면이 유지되도록 처리합니다.
  • 필수 SearchInput 옆에 버튼을 하나 배치하고, 이 버튼을 클릭할 시 /api/cats/random 을 호출하여 화면에 뿌리는 기능을 추가합니다. 버튼의 이름은 마음대로 정합니다.
  • lazy load 개념을 이용하여, 이미지가 화면에 보여야 할 시점에 load 되도록 처리해야 합니다.

스크롤 페이징 구현

  • 검색 결과 화면에서 유저가 브라우저 스크롤 바를 끝까지 이동시켰을 경우, 그 다음 페이지를 로딩하도록 만들어야 합니다.

코드 구조 관련

  • ES6 module 형태로 코드를 변경합니다.
    • webpack , parcel 과 같은 번들러를 사용하지 말아주세요.
    • 해당 코드 실행을 위해서는 http-server 모듈을(로컬 서버를 띄우는 다른 모듈도 사용 가능) 통해 index.html 을 띄워야 합니다.
  • API fetch 코드를 async , await 문을 이용하여 수정해주세요. 해당 코드들은 에러가 났을 경우를 대비해서 적절히 처리가 되어있어야 합니다.
  • 필수 API 의 status code 에 따라 에러 메시지를 분리하여 작성해야 합니다. 아래는 예시입니다.
  const request = async (url: string) => {
    try {
      const result = await fetch(url);
      return result.json();
    } catch (e) {
      console.warn(e);
    }
  }

  const api = {
    fetchGif: keyword => {
      return request(`${API_ENDPOINT}/api/gif/search?q=${keyword}`);
    },
    fetchGifAll: () => {
      return request(`${API_ENDPOINT}/api/gif/all`);
    }
  };
  • SearchResult 에 각 아이템을 클릭하는 이벤트를 Event Delegation 기법을 이용해 수정해주세요.
  • 컴포넌트 내부의 함수들이나 Util 함수들을 작게 잘 나누어주세요.

테스트 관련(가산점 요소)

  • Test suite와 각 test 의 목적을 이해하기 쉽게 기술해주세요. 예를 들어,
isNumber test (x)
isNumber 함수는 number type 의 argument 를 받으면 True 를 리턴합니다. (o)
  • 각 컴포넌트 내부에 있는 함수들이나, Util 함수들을 테스트 할 수 있게 분리합니다.
  • 조건문이 있는 함수의 경우, edge case에 대한 테스트를 준비합니다.
  • 테스트 코드 내에서 각 테스트마다 반복적으로 필요한 부분을 life cycle 함수를 이용해 관리하도록 합니다.